권지은(Ji eun Kwon), 서지민(Ji Min Seo). 한국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3[2010] 13-19(7쪽).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
Kiosk, Funology, Emotion of Enjoyment
Abstract
최첨단 기술은 인간과 도구 즉, 기계나 제품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사용자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사용에 대한 편리함이나 정보 제공에 대한 수행 능력뿐만 아니라 유희적 감성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은 재미와 즐겨움을 느끼게 해 줄 수 있는 다양하고 실험적인 형태로 표현하게 해주며 사용자에게는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 유발과 적극적 참여로 감각적, 감성저그 체험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개념의 퍼놀로지는(funology)는 상업적인 제품이나 도구로부터 확장되어 공공장소에서 대중을 상대로 한 키오스크 디자인에서도 보여 지고 있다. 지역별 특색을 감안하여 디자인된 키오스크 시스템에서 표현되는 퍼놀로지 요소를 분석하여 공공 디자인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유희적 감성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과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유희적 감성을 위한 퍼놀로지 요소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둘쨰, 분류한 항목별로 서울의 대푲ㄱ 키오스크 시스템 3곳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공공 키오스크 디자인에서 퍼놀로지 요소에 대한 표현 형식과 내용,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조망해 본다. 본 논문은 현재 설치된 키오스크 디자인의 퍼놀로지 요소에 의한 공공디자인의 효과를 제시하고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논하고자 한다.
A high technology makes a paradigm to change between human and tool such as machines and products. It is a significant issue to bring not only usefulness and accomplishment of informations but also emotion of enjoymen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elps to express various and experimental forms and allows users to take sensual and emotional experiences with curiosity and active participation. A funology which is a concept to be expanded from commercial products and media could be found in kiosk design for public space. We would analyze the elements of the funology in kiosk systems, which are created as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present methods and importance to bring users emotion of pleasure and fun in public design. In this paper, the first of all, we classify the funology by three types. Secondly, three kiosk systems which are located in Seoul are analyzed under types of funology. Finally, this article will discuss expression and contents of the funology and ability and direction based on result of analysis in public kiosk design for the future. We present the effects of the funolofy of kiosk design and mention the methods to break through limited ex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