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퍼포먼스에 있어서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효과와 활용 분석

권지은, 김경수. (2011). 애니메이션연구 제 7권 제 3호 39 p~54 P 1738 – 8627. 한국애니메니션학회

Keyword
퍼포먼스, 디지털 인터렉션, 디지털 총체 예술, interactive media, performance

Abstract
최근 인터렉티브 미디어는 퍼포먼스 분야에까지 적극적으로 활용되면서 다양하고도 실험적인 공연예술의 표현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무대미술을 배경으로 공연자가 행위를 하고 전체적인 연출이 이루어지는 공연이 관객에게 감동을 주고 함께 소통한다는 목적을 두고 있다. 때문에 퍼포먼스에서 디지털 인터렉션 요소는 다양한 시청각적 표현력을 다양화시키고 관객의 몰입도를 증가시켜 총체 예술의 의미를 부각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렉티브 퍼포먼스에 있어서 공연자와 무대, 공연자와 관객과의 인터렉션 요소와 사례 분석을 통하여 가변적 효과, 역동적 효과, 즉흥성에 의한 해프닝, 몸의 재해석 등의 영향을 살펴본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총체 예술로서의 가치와 의미를 논하고 인터렉티브 퍼포먼스 디자인의 발전 가능성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A high technology of an interactive media is strongly taken in performance area. It makes performing to expand to experimental and various methods. A goal of an art and design of a stage which is shown background of performing is to communicate between performers and audiences to bring their emotional experience. Therefore a digital interaction helps to enhance expression of synesthesia and lead to immersion of audiences. It allows standing out meaning of Gesamtkunstwerk which Wagner could only have approved.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the interactive elements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stage, and the performer and audience. In addition, we will identify variable effects, dynamic effects, the effects of improvisation, and the effects of the reinterpretation of the body through case studies. Based on analyzing case studies, we will expect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in the interactive performance design area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