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예술영화 포스터의 상징 표현에 관한 연구 – 2011년 국내 개봉 예술영화를 중심으로 –

석중휘(Souk, Jung Hwi), 권지은(Kwon, Ji Eun). (2012). 일러스트레이션 포름 33권 0호 5 ~ 16 페이지.
한국일러스트레이션 학회

Keyword
예술영화, 영화 포스터, art film, Movie Poster

Abstract
현대사회의 물질적 풍요와 매스미디어의 발달은 시각적 이미지의 홍수를 야기했다. 또한 문화의 시대라 지칭되는 현대사회에서 영화는 최근 소비자들에게 큰 관심과 영향을 주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 90년대 이후 영화는 대중, 더 자세히 세분하자면 여성, 청소년 그리고 마니아라는 소비자들에 의해 부각되어 그에 따른 대중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더 많은 관객 또는 소비자들을 스크린으로 불러들이고 있으며, 각 영화사나 기획사들은 포스터나 TV, 영화예고편 등의 여러 매체를 통해 광고 또는 홍보를 강화하고 있고, 이에 관객들에게 좀 더 강하게 어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영화 포스터에 많은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다양해진 영화 관람 욕구에 맞춰 다양한 장르의 영화들이 예술영화관이라는 소규모 영화관을 중심으로 개봉하고 있으며, 그에 발맞춰 한국에서도 몇 년 전부터 다양성영화라는 구분으로 예술영화의 개봉과 홍보를 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하지만 흥행과 자본을 위한 대규모의 상업영화와 달리 예술영화는 전문가의 부족, 소규모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한계 등으로 인해 영화의 컨셉을 표현하는 마케팅과 그 마케팅의 가장 중요한 역할인 영화 포스터에서 아직은 미비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영화 포스터 제작을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과 디자인을 위해 해외 영화 포스터의 사례분석과 함께 국내에서 개봉한 해외 예술영화 포스터와 국내의 포스터를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표현 전략으로 나누어 문제점을 진단해보았다. 이는 향후 예술영화 포스터를 위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디자인 활용 가이드라인의 기초자료로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Material prosperity of modern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has caused a flood of visual images. Also referred to as the era of culture in contemporary society that films of great interest to consumers and the impact the recent breakthrough has been giving. Since the 1990s, the popular film, classified more women, youth and consumer mania that has been highlighted by the subsequent popularity and more expertise to the screen attracts a large audience or consumers, and the posters for each movie or agency TV, movie trailers, advertising or publicity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to strengthen and more strongly appeal to this audienc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hat can be committed is a lot of movie posters. And recently, to meet diversified needs of various genres, cinema arts films released in cinemas around the small theater, and in Korea for several years to keep pace he called the diversity of the division of art films and to promote release of the movie and restaurant is on. However, for box-office and large-scale commercial film capital, unlike the lack of a professional art film, which consists of small, due to limitations of the system to express the concept of movie marketing and the marketing of the most important role, yet incomplete look at a movie poster it is true that showing. This study art movie poster for the production of efficient systems and design for the foreign film posters of the case study with domestic opening foreign art film posters and domestic posters of the communication strategy and presentation strategy divided by diagnosing problems have seen. The future of art movie poster design for the effective and systematic utilization of the guidelines will have its significance as a b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