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인터랙티브 스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참여 단계 모델 개발

권지은 (Kwon, Jieun), 나 건(Nah, Ken).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3권 4호.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Keyword
Interactive Space, Prticipation, User Participation, Model

Abstract
최근 공간(Space)은 최첨단 디지털 기술과 감성적 패러다임의 변화로 단순히 삶을 영위하기 위한 의미로서의 장소가 아닌, 인간과 교류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대상으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인터랙티브 스페이스(Interactive Space)는 인간-컴퓨터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가상공간과 전통적인 아날로그 감성, 그리고 물리적 환경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인간의 장이다. 이러한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역할과 의미도 변모하고 있다. 인터랙티브 스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참여는 디자인의 성패를 좌우하고 공간 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하게 하는 핵심 요소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터랙티브 스페이스라는 새로운 형태의 공간에서의 사용자 참여단계 유형을 모델로 정립하여 사용자 참여 유도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디자인 개발 시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첫째, 인터랙티브 스페이스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특징에 따른 사용자와의 관계를 살펴본다. 국내외 논문, 단행본, 사전, 리서치 자료 그리고 인터넷 자료를 활용한 문헌조사를 실시한다. 둘째, 사용자 참여의 개념과 전통적 방식과 디지털 방식 매체에 따른 참여 단계 유형을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셋째, 인터랙티브 스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참여 단계 유형을 재구성하여 참여 단계 모델을 구축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한 연구 결과, 참여의 정도에 따른 단계별 사용자 모델인 NK-I?(I Five)을 구축하여 효과적인 인터랙티브 스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개발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안한다.

Recently, space design, which was place to lead a life basically, has become a subject to communicate and interchange with human. Especially, interactive space is “human”s place”, which is made up complex elements of digital virtual space and traditional analog and physical environment based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system. Users” role and meaning have changed in it at the same time. User participation is a significant subject to lead successful design and achieve an aim of space system.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velop user participation model in interactive space as new form and to suggest framework for design planning. For this research, the first of all, we would found definition of interactive space and studied relationship with users.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presents main theory and concept of user”s participa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that are traditional and digital media of participation. The third, we make user participation model by stage for interactive space. Through this process, ‘NK-I?(I Five)’ model is developed for user participation types in interactive space. Furthermore, we would present the point of issue that there are considerations and design guide to successful interactive space by user participat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