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지은(Ji eun Kwon), 나건(Ken Nah).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권 1호 19 ~29 페이지. 한국디자인문화학회
Keyword
Affordance, 행위를 유도하는 어떤 형태나 이미지, Interactive OOH Advertisement, 상호작용적 옥외 광고, User Participation, 사용자 참여
Abstract
정보화 시대를 지나 컨셉추얼 시대(Conceptual Age)의 광고 매체는 표현 방식이 확장되고, 사용자에 대한 소구 방법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전통적인 광고 매체 이외에 공간을 기반으로 한 인터랙티브 옥외광고가 디지털 융복합 매체의 새롭고 실험적인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인터랙티브 옥외광고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적극적으로 메시지를 어필하고 참여를 통한 체험을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 하고 있다. 사용자 참여에 의한 효과적인 인터랙션 구현은 광고 효과를 높이고, 광고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랙티브 옥외 광고 분야에 있어서의 핵심인 인터랙션이구현되는 방식과 사용자의 참여를 이끌 수 있는 어포던스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학술 서적과 논문, 단행본을 포함한도서, 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어포던스 이론에 대한 개념과 이론을 살펴보고, 둘째, 인터랙티브 옥외 광고에 적용할 수 있는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분야와 관련한 허트슨의 어포던스 이론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한다. 셋째, 허트슨의 어포던스 이론의 유형별인터랙티브 광고 사례를 분석한다. 분석 사례는 유형별 특징이 두드러진 옥외 광고로 공간을 기반으로 설치되어 불특정 사용자와의 실시간 인터랙션이 포함된 국내외 광고로 제한한다. 적용된 사례 분석을 통해 고객의 참여가 필수 요소인 인터랙티브 광고 디자인에서의 어포던스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인터랙티브 옥외 광고를 어포던스의 유형으로 분류해 본다. 그리하여 사용자의 참여와 어포던스 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광고 디자인을 위한 장르로서의 인터랙티브 옥외 광고의 발전 가능성과 중요성을 전망해보고자 한다.
Recently, expression of advertisements has extremely expanded to other area of media and appeal as various methods to users in conceptual age. Especially, interactive OOH(Out of Home) advertisements based on space have become to explore digital convergence media and appear in new experimental ways. The interactive OOH advertisements strongly make message with interaction of users and communicate with experience of users` participation. Interactive media and technology provide effective advertising and help enhanced area of advertisement.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affordance to implement interaction in interactive OOH advertisements and to attract participation of user. For this research, the first of all we will discuss the concept and theory of affordance which is applied in interactive OOH advertisements by the publications, including thesis, articles, and books. Secondly, this article will be focused on Hutson`s concept which is classified according to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Finally, we will analysis examples based-on real-time interactive advertisement with unspecified audiences in space according to Hutson`s affordance types. In conclusion, we would like to mention the necessary of affordance in interactive OOH which take user`s participation. Furthermore, we will discuss the possibilities and points of issue that there are limitations and considerations to successful genre of interactive OOH advertis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