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문정 ( Moon Jung Choi ) , 김한재 ( Han Jae Kim ) , 신승섭 ( Seung Seob Shin ) ,
권지은 ( Ji Eun Kwon ).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권 2호. 한국디자인문화학회
Keyword
서비스 디자인, 미술 치료, 아동 심리치료, Service Design, Art Therapy, Child Psychotherapy
Abstract
최근 심리치료는 다양한 미디어와 콘텐츠로 접근이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미술치료는 미술, 음악, 무용, 원예, 연극, 명상 등의 모든 분야가 어우러져있어 다양한 형태의 전문적 서비스 영역으로 보다 보편화되어 있는데, 심리치료를 필요로 하는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 그에 따른 각종 심리치료의 특수성이 고려된 내담자의 시공간적 접근의 서비스디자인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심리치료 서비스 목적의 특이점은 대상과 기관, 치료사의 신뢰적 관계 구축과 대상의 정서적 어려움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전문적 시스템으로 치료목적의 효과를 증대시키는데 있는데 이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의 구조와 모델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기관인 “H“ 연구소를 중심으로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해 미술치료 서비스의 프로세스 정의 및 보완점을 제시하며, 미술치료의 서비스디자인 제공에 있어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문헌조사를 통하여 미술치료와 서비스의 개념을 정리하고 둘째,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해외 기관과 국내 연구소의 사례를 조사하여 실태파악을 하고 그 중, 미술치료 기관인 ‘H’ 연구소의 서비스 현황을 심층조사한 후 셋째, ‘H“ 연구소의 서비스를 분석하고 보완하여 체계적인 블루프린트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상 중 ‘부모’와 서비스 대상자인 ‘아동’으로 퍼소나를 정립하여 행태 모델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상, 기관, 치료사의 실제적 인터페이스와 안전한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미술치료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이루어낼 수 있는 구조와 체계를 도출하고 미술치료 과정의 전반적인 서비스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첫째, 미술치료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구조적, 시각적 가이드로 서비스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한 기준을 제공하고 둘째,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중심으로 퍼소나를 적용한 행동모델을 제시함으로서, 미술치료 서비스의 사용자의 모습을 명확하게 보여주어, 미술치료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을 기대된다.
Recently, psychological treatment has been become by many kinds of contents and media. Specially, art therapy including art, music, dance, gardening, play and other media has been built in professional service area. Therefore, it brings the needs to develop service design that related with touch point such as environment, time flow and therapist. The psychological treatments service which is special purpose of therapy makes credibility between target customer and therapist of institute. The most important things is precise understanding of target customer’s emotional problem in service of treatment. And then the professional service system needs to be built to heighten successful therapy. However, now, structure and model of service design are deficient in this area.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define art therapy service and classify customer and develop service design model of art therapy for child to success the service through case study of art therapy center, ‘H Studio’. We would discuss guideline of art therapy service and consideration. For this research, first of all, we make sure the concepts of art therapy and relationship with service by searching of the relevant literature. Secondly, case investigation research of overseas agency and Korea studio than compare and analyze them. And, do an in-depth analysis of the art therapy center, ‘H Studio’ would be researched about current process and system of service by observation and interview. Thirdly, we analyze ‘H Studio’ and make blueprint as service design model. Finally, we create persona of main customers who are the ‘Parents’ and ‘Child’. The result of this article is suggestion of service design come up with an effective structure system to Art therapy service process from target customer and therapist of institute by real interface and safety interaction in art therapy. 1) to suggest standard blueprint for structure and visualization of art therapy service design to make expeditious progress, 2) to show user scenario clearly using persona models for art therapy service. Therefore, it is expected to understand art therapy service for child and help effective management and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