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감성 커뮤니케이션에 기반한 이모티콘 디자인 분석 – 모바일 SNS(Social Network Service)

임윤아(Lim Yoon Ah), 권지은(Jieun Kwon).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한국기초조형학회(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Keyword
이모티콘 , 모바일 SNS , 감성커뮤니케이션 , Emoticon , Mobile SNS , Emotional- , communication

Abstract
최근 정보통신기술 및 SNS의 발달로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문자를 활용한 일반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넘어서 이모티콘을 활용한 감성 커뮤니케이션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모티콘의 형태와 의미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캐릭터나 그림 또는 모션과 사운드 등의 표현 방법을 활용한 이모티콘이 나타나고 있다. 1차적인 텍스트의 시각적 형태를 사용한 감성 표현이나 단순화된 얼굴 표정에서 시작된 방식이 이제는 카툰이나 일러스트 스타일의 캐릭터에서부터 심볼이나 배경, 모션, 3D 효과 등의 다양한 시각적 표현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상업적인 이모티콘의 양이 증가하고 여러 가지 새로운 형태가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측면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종류에 한계점을 갖고 있거나 이모티콘 디자인의 의미에 대한 해석이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전달되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 디자인 관점에서의 이모티콘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현 시점에서의 이모티콘 디자인 경향을 파악하고 그 한계점과 발전 방향성을 논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단행본, 학술논문 등을 통해 이모티콘의 개념 및 이론을 살펴보고, 본 논문에서 연구될 이모티콘 대상에 대한 정의와 범위를 설정한다. 둘째, 국내에서 활용도가 가장 높은 모바일 메신저를 중심으로 이모티콘을 수집하여 시각적 디자인 관점을 토대로 분석한다. 구체적인 형태, 색채, 타이포그래피, 모션 등의 시각적 구성요소에 기반하여 각 이모티콘의 정보 요소를 분석하고 한계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된 내용과 결과를 앞으로 지속적으로 증가될 다양한 이모티콘 개발에 가이드라인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emotional communication using emoticons have increased because of high technology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SNS beyond general communication using text. Especially, a form and meaning of the emoticon have developed and emoticons designed by characters, images, motions, sound have emerged. Emotional expression used a primary visual shape of type, however, now emoticons are designed by various visual ways which are from characters of cartoon and illustration style to symbol, background, motion 3D effect and so on. Although emoticons have commercially increased in quantity and appeared in a new form, the types of emoticon are to be limited by the user side and interpretation of emoticon design delivered to others in a different meaning. Therefor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ze emoticons to take emoticons design trends at this moment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from the visual design. For this research, the first of all we would discuss the concept of emoticons and emotional communication by publishment, papers, thesis and so on. we define a concept and the scope of the emoticons will be analyzed in this article. Secondly, we collect emoticons which are the highly ranked on utilization of the mobile messenger and then analyze with the visual design elements. Each emoticon is analyzed by visual elements based on shape, color, typography and motion and discussed the limitation. In conclusion, we expect that analyzed contents and results will be suggested by a guideline of increasing emoticon design in the future.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