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디지털 눈 콘텐츠의 감성 표현에 관한 연구

임윤아 (Yoon Ah Lim)

Keyword
구체관절인형, 디지털 눈, 눈의 감성 표현

Abstract
감성이 중요시 되면서 디지털 콘텐츠에서 이를 표현하고자 다양한 방법이 시도 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분야와 IT기술이 접목된 하이테크놀로지 기능뿐만 아니라 인간성을 강조하는 감성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감성 커뮤니케이션 방법 중 하나인 얼굴 표정은 정교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세한 감정과 정확한 감성 표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마음의 창이라는 말과 같이 감성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눈은 얼굴의 단위 요소의 일부로만 다뤄지고 있다. 또한 눈썹과 같은 다른 요소를 제외한 눈에 대한 상세한 감성 표현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에 기반을 둔 감성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눈 콘텐츠의 감성 표현 요소를 추출하고 가이드라인을 정립하고자 한다. 특히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스마트 인형 개발을 위한 디지털 눈 콘텐츠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한 첫 번째, 눈과 디지털을 기반으로 하는 눈의 감성 표현에 대한 이론적 배경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번째, FGI를 2번 진행하여 스마트인형 사용자 감성(‘Happy’, ‘Sad’, ‘Angry’, ‘Relaxed’, ‘Sexy’, ‘Pure’) 와 눈의 감성 표현 요소(눈매, 시선, 홍채 크기, 특수 효과)를 정의하였다. 세 번째, FGI 결과를 바탕으로 12개의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감성 표현 적합성과 수준 실험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작한 콘텐츠의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 제작한 감성 콘텐츠는 디지털 기반 콘텐츠로서 감성 표현이 가능하여 감성 커뮤니케이션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단, 눈만으로 감성을 표현하는 것은 실재감의 한계가 있다. 본 연구가 앞으로 지속적으로 등장하게 될 로보틱스 기반의 콘텐츠에서 효과적인 감성 커뮤니케이션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눈에 대한 감성 표현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