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Papers


[2022] 시니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모바일 앱의 UI 디자인 – 동영상 저작도구 앱을 중심으로 –
[2022] 비대면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분석 및 방향성 제시
[2022] 공학분야의 창의융합 인재양성을 위한 PBL 교수법 연구
[2022] 인터넷 지도의 심볼 디자인에 관한 연구
[2022] 실감 콘텐츠 전시에서 관객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어포던스 요소 분석
[2022] 동영상 제작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시니어의 사용성 평가 분석
[2022] Development of Application Usability Evaluation Scale for Seniors
[2021] A Study on Symbol Design for Internet Map
[2021] A Study on UI Design of Video Authoring Tool Application for Seniors
[2021] 액티브 시니어의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을 통한 동영상 콘텐츠 저작도구 개발 방향성 모색
[2021]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수학 체험 공간의 콘텐츠 모델 개발
[2021] 체험 공간에 따른 수학 교육 체험 콘텐츠 분석
[2020]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한 시장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연구 – 부천 원미동 지역 시장을 중심으로 –
[2020] 지도 기반 웹 플랫폼 서비스의 사용성 개선 디자인
[2020]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한 시장 브랜드 아이덴티티
[2020]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발전 
[2019] 지도 기반 웹 서비스 UI 디자인 분석
[2019] 국내 메이커 운동의 교육 분야 활성화 방안 연구
[2019]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maker tendency and psychological variables
[2019] 국내 메이커 운동의 가치 및 발전 방향 분석(Analysis of Values and Development Direction for Domestic Maker Movement)

[2019] 메이커 스페이스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가이드 라인
[2019] 국내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메이커 커뮤니티 참여 효과 중심으로 
[2018] Development of STEAM Program Based on Gamification fo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2018] 모바일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신저 기반 이모티콘의 감성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2018] 디지털 눈 콘텐츠의 감성 표현에 관한 연구
[2018] 모바일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신저의 이모티콘 기반 감성 어휘 분류
[2017] Usability Improvement of Life-Logging Contents Based on Gamification Factors
[2017]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감성과학 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2017] 게이미피케이션에 기반한 라이프로깅 콘텐츠의 사용성 평가 분석
[2017] 디지털 콘텐츠 기반 눈(Eye)의 감성 표현에 관한 연구
[2016] 전자담배 담론 연구
[2016] 감성 커뮤니케이션에 기반한 이모티콘 디자인 분석 – 모바일 SNS(Social Network Service)
[2016] 모바일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위한 감성 어휘에 관한 연구
[2016]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2016]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구성을 위한 사용자 행태 분류
[2016]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펀웨어 요소
[2016] 감성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모바일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모티콘 디자인 분석
[2016] 라이프로깅 중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성 평가 – ‘소니 라이프로그(Sony Lifelong)’와 ‘넛지 헬스 트래킹(Nudge Health Tracking)’을 중심으로
[2016] 자아 형성 관점에서 분석한 라이프로깅 앱에 관한 연구
[2015] An Analysis of Infographic Design for Life-Logging Application
[2015] Correlation between Heart Rate and Image Components
[2015]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의 캐릭터 디자인 분석
[2015] 유아-아동 대상 미술치료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H’ 미술치료 연구소를 중심으로 –
[2015] Analysis of the Difference from the Amount of Movement and Emotional State Caused by Six Color Noise in the Exhibition Place
[2014] 퍼놀로지를 위한 사진 촬영 인터렉션 기반에서의 사용자 행태 모델; ‘포도씨’ 키오스크를 중심으로
[2014] Application of Motion Analysis to User Participation Behavior Model: Focused on Interactive Space
[2013] 초등학교 음악감상수업에서 학습매체에 따른 표현양상 비교
[2013] 인터렉티브 스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참여 단계 모델 개발
[2013] 인터렉티브 스페이스에서 동작분석을 이용한 사용자 참여 행태 모형 개발(박사학위논문)
[2013] 페이퍼 엔지니어링을 활용한 디지털 팝업북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2013] 앱북(App Book)으로의 매체 전화을 위한 퍼놀로지(Funology)에 관한 연구
[2013] 인터렉티브 옥외 광고에 있어서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어포던스에 관한 연구
[2013] 증강현실 옥외 광고의 사용자 생동 모델이 관한 연구
[2012] 예술영화 포스터의 상징 표현에 관한 연구 – 2011년 국내 개봉 예술영화를 중심으로 –
[2012]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리듬액션 게임을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감상 수업에서의 학습 평가, 학습 몰입, 학습 만족 연구
[2011] 퍼포먼스에 있어서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효과와 활용 분석
[2011] 디지털 총체예술로서의 게임아트
[2010] Funology Body : Funology와 ‘몸의 철학’ 이론을 바탕으로 한 어플리케이션 분류 검색 체계 연구
[2010] 사용자의 유희적 감성을 위한 공공 키오스크 디자인의 퍼놀로지(Funology) 요소 분석
[2010] NPR 기법을 이용한 “스트리트 파이터 IV”의 그래픽 디자인
[2007] Your Destiny: Dynamic Interactive Installation for Digital Gesamtkunstwerk(Total Work of Art)
[2007] 일렉트로닉 설치 미술에서 관객 참여를 위한 바디 인터렉션
[2007] Real-time Interactive Media Design with Camera Motion Tracking

Books

디자이너를 위한 감성 프로세싱
권지은 저, 예문사, 2014. 03

IMG_0648
이제는 디자이너도 프로그래밍을 해야 하는 시기가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디자이너가 프로그래밍을 접근하기에는 너무나 어렵다. 이들을 위해 디자이너가 직접 가이드를 마련했다. 기존의 딱딱하고 어렵기만 했던 프로세싱에 쉽게 접근하는 것은 물론이고 보다 감성적이고 보다 창의적인 결과물을 낼 수 있도록 안내할 것이다.

뉴욕디자인
권지은 저, Artfever, 2009. 07

한국 및 대만 출간
IMG_0657
뉴욕 디자인과 예술에 관한 역사와 정보를 제공하고, 디자인적 영감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디자인 전문 서적이다. 아트와 디자인을 중심 테마로 삼아 써 내려간 전문 정보를 뉴옥을 여행하듯이 재구성해 각각의 이야기를 일정한 흐름에 따라 쉽게 읽어볼 수 있도록 했다. 거리의 조형물과 건물, 예술적 감각이 묻어나는 다양한 아이템들을 담아냈고, 인상적인 미술관의 정보와 아트와 디자인에 대한 리뷰와 함께 그곳에서 만난 작품들과 작가들을 소개하는 등 그 세부 전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웹 컬러 스타일리스트
권지은 저, 정글프레스, 2004. 05

한국 및 베이징 출간
IMG_0656
웹 디자인에 필요한 컬러 감각을 다양한 포트폴리오와 함꼐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론적인 색채학 원론이 아닌 실무에서 즉시 적용 가능하도록 인터넷상의 다양한 실제 사이트의 컬러 구성을 바탕으로 설명하였다. 포트폴리오 중심으로 구성되어 이상적인 웹 컬러 배색의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컬러리스트 자격증 대비 서적으로써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무자의 지침서로도 활용 가능하도록 짜임새 있게 꾸며져 있다.

디지털의 진화 : 감성 UX 디자인
권지은 저, 도서출판 청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