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국내 메이커 운동의 가치 및 발전 방향 분석(Analysis of Values and Development Direction for Domestic Maker Movement)

권우정(Kwon woo Jung), 백윤철(Yuncheol Baek), 권지은(Ji-Eun Kwon)

Keyword
메이커, 메이커 운동, 메이커 문화, 메이커 스페이스, Maker, Maker Movement, Maker Culture, Maker Space

Abstract
최근 미국과 유럽, 중국 등 세계 주요국에서는 새로운 경제 혁신의 원동력으로 메이커 운동이 활성화되어 메이커 페어, 메이커 스페이스, 메이커 커뮤니티 등의 다양한 문화 활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국내 메이커 운동은 정부 주도와 민간의 협력 하에 저변 확대에 따른 대중화와 국내 실정에 맞는 적절한 성장 방향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사회 문화적 발전의 원동력으로써 메이커 운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실태 조사와 이에 따른,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메이커 운동의 실태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환경과 특징에 맞는 메이커 운동의 가치를 도출하고, 메이커 운동의 확산과 정착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첫째, 문헌 조사를 중심으로 메이커 운동의 개념 및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메이커 운동 관련 선행 연구를 분석했다. 둘째, 국내 메이커 운동과 관련된 교육자, 메이커 스페이스 운영자, 개발 전문가, 해외 연계 메이커까지의이해관계자(Skakeholder)를 단계에 맞게 대상을 추출하여, 심층 인터뷰 및 FGI(Focus Group Interview)를진행하였다. 셋째, 문헌 연구 및 인터뷰 내용 분석을 통해 국내 메이커 운동의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메이커 운동 관련 키워드를 76개 추출하여, 이를 ‘사람’, ‘공간과 시설’, ‘교육’, ‘비즈니스’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분류결과 ‘비즈니스’ 관련 키워드가 24.2%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키워드 맵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사람을 중심으로 한, 자기실현, 연결, 즐거움, 수익창출, 교육의 5가지 메이커 운동의 가치와 성장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환경과 특징에 맞는 메이커 운동 지원 정책이 이루어짐으로써, 질적 향상과 발전적인 메이커 문화 운동의 생태계가 구축되는 것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maker movement has been started to drive new economic innovation in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SA, Europe, and China. It appears as cultural activities such as maker fairs, maker spaces, and communities of makers. The domestic maker movement needs popularization based on expansion and a appropriate growth direction in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led and private sect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support the maker movement as the driving force of socio-cultural development and to establish policies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draw the values of the maker movemen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ker movement and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proliferation and settlement of it. For this research, first, it examined the concepts and trends of the maker movement based on literature survey and analyzed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maker movement. Secondly, after selecting the eligible stakeholders such as the educators, maker space operators, developers, and overseas makers related to domestic maker movement, in-depth interviews and FGI(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Third, this article extracted the insights of the maker movements and determined 76 keywords related to the maker movements. These keywords were classified into ‘People’, ‘Space and facilities’, ‘Education’, and ‘Business’ categories. As a result, ‘Business’ keywords were the most common with 24.2%. A keyword map was derived based on categories. The result suggested the value and growth direction of the five types of the maker movement, such as self-realization, connection, pleasure, profit creation, and education centered on human. It will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and building of an expansive ecosystem of the maker movement by supporting of the policies that suit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2019] 메이커 스페이스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가이드 라인

이진석(Jin-Suk Lee), 전승우(Seung-Woo Chun), 권지은(Ji-Eun Kwon)

Keyword
메이커, 메이커 스페이스, 메이커 문화 운동, 서비스 디자인, 퍼소나, 블루프린트,Maker, Maker Space, Maker Culture Movement, Service Design, Persona, Blue Print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메이커 운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메이커 커뮤니티 참여를 중심으로 메이커 운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10대부터 50대 사이의 일반인 대상으로 실시한 ‘2018 하반기 국내 메이커 운동 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내에서 메이커 운동에 관한 인지도와 메이커 관심 및 참여 의도는 아직까지 높지 않았다. 둘째, 메이커 커뮤니티 참여자와 비참여자 사이에 메이커 인지도 및 메이커 활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이커 커뮤니티 참여와 메이커 오리엔테이션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에서 메이커 활동 동기들(즐거움, 스트레스 해소, 자신의 아이디어 표현, 비용 절감, 사회적 인정)의 다중병렬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메이커 커뮤니티 참여를 활용한 국내 메이커 운동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Korean Maker Movement and explored the ways for activating Maker Movement in Korea. To do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data of ‘A survey of the Korea Maker Movement in the second half of 2018’, conducted by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involved 20’s~50’s Koreans. As a results, first, awareness, interest and behavior intention of Maker Movement was not high in Korea.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Maker Community in Maker awareness and Maker activities. Third,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Maker Community participation and Maker Orientation is parallel multiple mediated by Maker activating motives such as fun, relieving stress, expressing own idea, saving cost, social recognition. Lastly, based upon the results, we presented several ways to activate Maker Movement in Korea.

[2019] 국내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메이커 커뮤니티 참여 효과 중심으로

곽소정(Sojung Kwak), 백윤철(Yuncheol Baek), 권지은(Ji-Eun Kwon)

Keyword
메이커, 메이커 운동, 메이커 문화, 메이커 커뮤니티, 커뮤니티 참여, Maker, Maker Movement, Maker Culture, Maker Community, Community Participation

Abstract
본 연구는 메이커 운동의 확산으로 증가하고 있는 메이커 스페이스의 효과적인 운영 및 내실화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메이커 스페이스의 정의 및 현황 등에 관해 문헌 조사 및 선행 연구를 조사한다. 둘째, 정성조사 방법으로 메이커 스페이스 서비스에 대한 비디오 에스노그라피, 참여관찰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셋째, 조사한 내용을 분석하여 메이커 스페이스에 대한 퍼소나, 블루프린트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메이커 스페이스를 일반랩과 전문랩으로 분류하고, 메이커 스페이스에서 나타나는 4가지 형태의 퍼소나를 도출하고 체계화를 위한 블루프린트를 구축하여 설계 및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비스 디자인의 퍼소나와 블루프린트는 기존 메이커 스페이스의 서비스 개선과 신규 메이커 스페이스의 설계, 콘텐츠 구성 및 운영의 내실화에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guidelines for service design for efficient operation of Maker Space due to the proliferation of Maker Movement. First, we investigate the literature survey and prior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status of Maker space. Second, we performed video ethnograph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on maker space service by qualitative survey method. Third, we analyze the surveyed contents and present guidelines such as Persona or Blueprint for maker space. We classify Maker space into general lab and professional lab, derive Persona from each Maker space, and establish Blueprint to provide guidelines for design and op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Maker space service design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to help the servic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Maker space and the planning, design and operation of the new Maker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