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발전

박현주(Park Hyunjoo), 권기윤(Kwon Giyoon), 권지은(Ji-Eun Kwon)

Keyword
공공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지역 커뮤니티, 도서관 공간, 공간 브랜딩, Public Library, Complex Culture Space, Local Community, Library Space, Space Branding

Abstract
최근 공공도서관은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단순한 정보 제공의 기능뿐만 아니라 교육, 여가활동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사회의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도서관은 지역의 활성화를 위하 여 복합문화공간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은 특정 지역의 고유문화 예술 발전의 구심점을 제공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조 성하도록 하는 공공도서관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연구를 통해 지역 문화 브랜딩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정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개념, 지 역 사회와 관련한 역할,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이 어떤 의미인지 연구하고 둘째,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운영되고 있는 국내 외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분석하여 셋째, 분석 결과를 통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발전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복합문화공간의 기능은 상징성, 복합성, 전문성, 참여성, 접근성으로 분류하여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연계할 수 있다. 사례 분석 결과, 다섯 가지 특성 요소 중 참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공간을 제공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 하는 것의 중요성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복합성과 접근성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의 공간에서 다양한 가치를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의미에 부합한다. 상징성은 모든 사례에서 가장 높은 척도로 평가되었다. 복합 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이러한 상징성을 바탕으로 지역의 특색을 살린 랜드마크화가 가능하고 이로 인한 타지역민 유 입이나 관광산업의 가치까지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지역의 특색에 맞는 문화공간의 콘텐츠를 개발, 전문적 정보 제공 등을 통하여 지역의 상징을 살릴 수 있는 랜드화가 가능하며 문화공간의 질적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공간의 하드웨어가 되는 건축물은 개성을 살리고, 소프트웨어인 운영 프로그램은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해야 하며 복합 문화공간의 특징인 다양성을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과 서비스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공공도서관의 기본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복합문화공간의 역할과 공간구성을 융합한 방향성 추구는 그 지역 브랜딩과 지역 주민의 삶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y beyond the place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education centered on books is demanding the symbol of the community and the value as a cultural community space. Accordingly, public libraries are developing in the form of complex cultural spaces to revitalize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ublic library to provide the central point of the development of unique culture and arts in a specific region and to create a cultural identity.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ublic libraries for local cultural branding through the study of public librar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Method) First, we studies the concept of public library, the role related to the community, and the meaning of the library as a complex cultural space based on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Second, we analyzes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public libraries operating as complex cultural spaces. Thir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we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as a complex cultural space. (Results) The functio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can be linked to the function of a public library by the characteristics of symbolism, complexity, expertise, participation and accessibility.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participation among the five characteristic elements was the highest, which could see the importance of encouraging voluntary participation by providing various programs and spaces. The next high level of complexity and accessibility conforms to the meaning of a complex cultural space in that you can experience various values in an easily accessible space. Symbolism was rated as the highest scale in all cases. Based on this symbolism, the public library as a cultural complex will be able to be a landmark that accentu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thus gain the value of the tourism industry as well as the influx of people from other regions. (Conclusions) Public librar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can be landlocked and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al spaces by developing contents of cultural space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providing profess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rchitecture that serves as the hardware of space should be unique, and the operating program that is the software should meet the user’s requirements. Variety, a characteristic of complex cultural spaces, needs to be applied to the spatial composition and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conclusion, the pursuit of directionality, which fused the role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composite cultural space while maintaining the basic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is expected to help promote the local branding and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2020]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한 시장 브랜드 아이덴티티

박현주(Park Hyunjoo), 서창희(Seo ChangHee), 권지은(Ji-Eun Kwon)

Keyword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장 브랜딩, 로고, Brand Identity, Market Branding, Logo

Abstract
최근 밀레니엄 시대와 경쟁 시대에 접어들면서 사람뿐 아닌 여러 지역 사회까지 자기만의 이미지를 구축하고 아이덴티티를 성립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각 지역만의 고유하고 차별화된 정체성이 담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콘텐츠를 생산하고, 주민들의 생활문화에서 원동력을 얻고 공유하며 궁극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마을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도시재생 실행수단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천시 원미지역 내 있는 부흥시장과 금강시장에 대한 통합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문헌 조사를 중심으로 시장을 중심으로 한 브랜딩의 개념과 역할, 디자인 요소를 살펴보고, 둘째, 국내외 브랜딩 사례를 통해 구체적인 항목에 따라 분석한다. 셋째, 부천 원미동에 있는 시장을 중심으로 한 설문조사와 인터뷰 등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로고와 심볼, 슬로건 등을 제안한다. 원미동의 상징인 원미산과 심곡천을 디자인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하고 친근한 이미지와 공동체 의식을 나타낼 수 있는 슬로건을 제시하여, 원미시장 상인들의 의견이 잘 반영된 실제 부천 원미동의 시장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립하였다.

Into the recent age of millennium and competition, not only people but also communities are focusing on building their own image and establishing identities. To do this, companies are applying brand identities for urban renewal implementation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village companies and realize social value that produces contents with unique and differentiated identity of each region based on obtaining and sharing power of residents’living culture. This research is aimed at developing an integrated brand identity and suggesting brand image for Wonmi Buheung Market and Geumgang Market in Bucheon. To this end, first, we looked at the concept, role and elements of design of market branding centered on literature research. Second, we analyzed them according to detailed items from domestic to foreign branding cases. Third, we suggested logo, symbol and slogan based on brand identity elements which are drawn by surveys and interview centered on markets in Wonmi of Bucheon. As a result, by designing Wonmi Mountain and Simgok Stream which are symbols of Wonmi, we suggested slogan which expresses friendly image and sense of community establishing the actual market brand identity of Bucheon Wonmi that reflects the opinions of the market merchants.

[2019] 국내 메이커 운동의 가치 및 발전 방향 분석(Analysis of Values and Development Direction for Domestic Maker Movement)

권우정(Kwon woo Jung), 백윤철(Yuncheol Baek), 권지은(Ji-Eun Kwon)

Keyword
메이커, 메이커 운동, 메이커 문화, 메이커 스페이스, Maker, Maker Movement, Maker Culture, Maker Space

Abstract
최근 미국과 유럽, 중국 등 세계 주요국에서는 새로운 경제 혁신의 원동력으로 메이커 운동이 활성화되어 메이커 페어, 메이커 스페이스, 메이커 커뮤니티 등의 다양한 문화 활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국내 메이커 운동은 정부 주도와 민간의 협력 하에 저변 확대에 따른 대중화와 국내 실정에 맞는 적절한 성장 방향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사회 문화적 발전의 원동력으로써 메이커 운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실태 조사와 이에 따른,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메이커 운동의 실태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환경과 특징에 맞는 메이커 운동의 가치를 도출하고, 메이커 운동의 확산과 정착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첫째, 문헌 조사를 중심으로 메이커 운동의 개념 및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메이커 운동 관련 선행 연구를 분석했다. 둘째, 국내 메이커 운동과 관련된 교육자, 메이커 스페이스 운영자, 개발 전문가, 해외 연계 메이커까지의이해관계자(Skakeholder)를 단계에 맞게 대상을 추출하여, 심층 인터뷰 및 FGI(Focus Group Interview)를진행하였다. 셋째, 문헌 연구 및 인터뷰 내용 분석을 통해 국내 메이커 운동의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메이커 운동 관련 키워드를 76개 추출하여, 이를 ‘사람’, ‘공간과 시설’, ‘교육’, ‘비즈니스’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분류결과 ‘비즈니스’ 관련 키워드가 24.2%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키워드 맵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사람을 중심으로 한, 자기실현, 연결, 즐거움, 수익창출, 교육의 5가지 메이커 운동의 가치와 성장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환경과 특징에 맞는 메이커 운동 지원 정책이 이루어짐으로써, 질적 향상과 발전적인 메이커 문화 운동의 생태계가 구축되는 것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maker movement has been started to drive new economic innovation in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SA, Europe, and China. It appears as cultural activities such as maker fairs, maker spaces, and communities of makers. The domestic maker movement needs popularization based on expansion and a appropriate growth direction in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led and private sect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support the maker movement as the driving force of socio-cultural development and to establish policies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draw the values of the maker movemen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ker movement and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proliferation and settlement of it. For this research, first, it examined the concepts and trends of the maker movement based on literature survey and analyzed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maker movement. Secondly, after selecting the eligible stakeholders such as the educators, maker space operators, developers, and overseas makers related to domestic maker movement, in-depth interviews and FGI(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Third, this article extracted the insights of the maker movements and determined 76 keywords related to the maker movements. These keywords were classified into ‘People’, ‘Space and facilities’, ‘Education’, and ‘Business’ categories. As a result, ‘Business’ keywords were the most common with 24.2%. A keyword map was derived based on categories. The result suggested the value and growth direction of the five types of the maker movement, such as self-realization, connection, pleasure, profit creation, and education centered on human. It will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and building of an expansive ecosystem of the maker movement by supporting of the policies that suit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2019] 메이커 스페이스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가이드 라인

이진석(Jin-Suk Lee), 전승우(Seung-Woo Chun), 권지은(Ji-Eun Kwon)

Keyword
메이커, 메이커 스페이스, 메이커 문화 운동, 서비스 디자인, 퍼소나, 블루프린트,Maker, Maker Space, Maker Culture Movement, Service Design, Persona, Blue Print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메이커 운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메이커 커뮤니티 참여를 중심으로 메이커 운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10대부터 50대 사이의 일반인 대상으로 실시한 ‘2018 하반기 국내 메이커 운동 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내에서 메이커 운동에 관한 인지도와 메이커 관심 및 참여 의도는 아직까지 높지 않았다. 둘째, 메이커 커뮤니티 참여자와 비참여자 사이에 메이커 인지도 및 메이커 활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이커 커뮤니티 참여와 메이커 오리엔테이션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에서 메이커 활동 동기들(즐거움, 스트레스 해소, 자신의 아이디어 표현, 비용 절감, 사회적 인정)의 다중병렬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메이커 커뮤니티 참여를 활용한 국내 메이커 운동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Korean Maker Movement and explored the ways for activating Maker Movement in Korea. To do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data of ‘A survey of the Korea Maker Movement in the second half of 2018’, conducted by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involved 20’s~50’s Koreans. As a results, first, awareness, interest and behavior intention of Maker Movement was not high in Korea.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Maker Community in Maker awareness and Maker activities. Third,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Maker Community participation and Maker Orientation is parallel multiple mediated by Maker activating motives such as fun, relieving stress, expressing own idea, saving cost, social recognition. Lastly, based upon the results, we presented several ways to activate Maker Movement in Korea.

[2019] 국내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메이커 커뮤니티 참여 효과 중심으로

곽소정(Sojung Kwak), 백윤철(Yuncheol Baek), 권지은(Ji-Eun Kwon)

Keyword
메이커, 메이커 운동, 메이커 문화, 메이커 커뮤니티, 커뮤니티 참여, Maker, Maker Movement, Maker Culture, Maker Community, Community Participation

Abstract
본 연구는 메이커 운동의 확산으로 증가하고 있는 메이커 스페이스의 효과적인 운영 및 내실화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메이커 스페이스의 정의 및 현황 등에 관해 문헌 조사 및 선행 연구를 조사한다. 둘째, 정성조사 방법으로 메이커 스페이스 서비스에 대한 비디오 에스노그라피, 참여관찰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셋째, 조사한 내용을 분석하여 메이커 스페이스에 대한 퍼소나, 블루프린트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메이커 스페이스를 일반랩과 전문랩으로 분류하고, 메이커 스페이스에서 나타나는 4가지 형태의 퍼소나를 도출하고 체계화를 위한 블루프린트를 구축하여 설계 및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비스 디자인의 퍼소나와 블루프린트는 기존 메이커 스페이스의 서비스 개선과 신규 메이커 스페이스의 설계, 콘텐츠 구성 및 운영의 내실화에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guidelines for service design for efficient operation of Maker Space due to the proliferation of Maker Movement. First, we investigate the literature survey and prior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status of Maker space. Second, we performed video ethnograph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on maker space service by qualitative survey method. Third, we analyze the surveyed contents and present guidelines such as Persona or Blueprint for maker space. We classify Maker space into general lab and professional lab, derive Persona from each Maker space, and establish Blueprint to provide guidelines for design and op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Maker space service design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to help the servic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Maker space and the planning, design and operation of the new Maker space.

[2019] Development of STEAM Program Based on Gamification fo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곽소정(Sojung Kwak), 권지은(Jieun Kwon)

Keyword
SETAM, Gamification, Educ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stract
융합이 중요시 되고 있는 시대가 발전함에 미래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 분야에
서도 다양한 시도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초등학생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
그램을 개발하되, 수업에 참여를 유도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요
소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한 프로그램을 수업에 직접 적용함으로써, 게이미피케이션 요소
가 적용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와 가능성 및 효과적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
다. 이를 위하여 첫째,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게이미피케이션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교육
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둘째, 게이미피케이션 메커니즘을 적용한 초등학생 대상 융합인재교육 프
로그램, ‘나의 꼬마 빌딩 숲’을 개발하였다. 깊이 지각에 대한 인지과학의 원리를 주제로 3차시에
해당하는 수업 내용과 활동 및 교재와 키트 등을 제작하였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 학급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만족도 조사 및 교사 인터뷰 등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넷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게이미피케이션 요소을 적용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가능성과 가치, 한계점 등
을 논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융합인재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융합 시대를 선도할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2017]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감성과학 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권지은(Jieun Kwon), 곽소정(Sojung Kwak), 김혜진(HyeJin Kim), 이세정(SeJeong Lee)

Keyword
융합인재교육, 감성과학, 교육, 초등학교, 마음, STEAM, Emotion Science, Education, Elementary School, Mind

Abstract
감성이 중요시되고 있는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미래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분야에서도 감성과학과 관련된 교육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논문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감성과학을 학습할 수 있는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해봄으로써, 가능성과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감성과학을 교육하기에 적합한 융합인재교육(STEAM) 방식을 채택하여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한 ‘도형으로 만드는 마음’을 개발하였다. 감성과학 관련 STEAM의 이론적 배경과 벤치마킹을 실시하고, 초등학교 해당 학년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수업 내용과 활동 및 교재와 키트 등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두 학급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만족도 조사와 교사 인터뷰 등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전체 만족도 평균은 매우 높게(4.40/5) 나왔으며 특히, ‘수업 참여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한 가능성과 가치, 한계점 등을 논한다. 본 연구 결과는 과학에 대한 직접적인 이해가 어려운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감성과학에 대해 쉽고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감성과학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감성 중심 시대를 선도할 인재를 양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2017] 게이미피케이션에 기반한 라이프로깅 콘텐츠의 사용성 평가 분석

곽소정(Sojung Kwak), 권지은(Jieun Kwon)

Keyword
Usability Evaluation, Gamification, Life-logging, Application

Abstract
This paper will verify the improvement in Life-logging application usage rate with the gamification factor as an element. We classified the gamification factor into three groups, such as, “Acting”, “Achievement”, and “Social”, and a total of four analysis were done consisting of each gamification factor separately and one all together. Usability evaluation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verify functionality and satisfaction. It is expected that effective use of the gamification factor for the Life-logging application will serve as a basis for providing a more enjoyable behavior and application usage rate.

[2018] 모바일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신저의 이모티콘 기반 감성 어휘 분류

이은아 (Eun Ah Lee), 임윤아 (Yoon Ah Lim), 권지은(Jieun Kwon)

Keyword
Emoticon, Mobile SNS, Emotional Vocabulary, Emotional Communication

Abstract
Recently, emotional communication has been developed by emoticons that express user emotion in mediated communication through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SNS). As the development of emoticons increases and the usage becomes more popular,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items that express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desired meaning by the user. And also mis-communication can occur through different interpretation amongst users. Additionally, the meaning interpreted by the users may be different from the designers’ intended emotional expressions. In this study, we propose a model by classifying emotional vocabularies. First, we collected emotional adjectives and extracted the first set of vocabularies with questionnaires, statistical analysis and FGI (Focus Group Interview). Second, we extracted the final set of proper vocabulary from the first set of vocabularies with a second set of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 analysis. Third, with the final set of vocabularies an emotional vocabulary model was built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s a result, the model was classified into 13 categories, which are as follows: sorry, busy, hungry, difficult, sad, the weather is cold or hot, boring, ashamed, curious, satisfy, good, beautiful, and comfortable.

[2018] 모바일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신저 기반 이모티콘의 감성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이은아 (Eun Ah Lee)

Keyword
모바일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모티콘, 커뮤니케이션

Abstract
모바일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신저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사이버공간 안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모바일 SNS 메신저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비 대면의 상태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즉, 신체언어인 얼굴표정 및 몸짓의 표현이 배제된다면 상대방의 미세한 감성을 정확히 인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신체언어를 대체할 수 있는 이모티콘이 등장하였으며, 이는 초기의 문자기호 형태로부터 현재는 그래픽,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의 형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모바일 SNS 커뮤니케이션 공간 가운데 국내 점유율 1위와 2위를 차지하는 카카오톡(Kakao Talk)과 라인(LINE)은 애플리케이션 내에 이모티콘을 다량 보유하고 있으며 그래픽 디자이너, 웬툰작가, 일반인 등 다양한 작업자들로부터 이모티콘의 생산이 급증하고 있다. 이처럼 이모티콘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이모티콘의 수요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며, 적절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없이 제작된 이모티콘은 같은 이모티콘이라도 사용자마다 다른 의미로 해석하여 의사소통의 오류가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SNS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사용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감성적 언어를 통하여 감성 어휘 모델을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이모티콘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작한다. 연구내용을 기반으로 디자인적 요소를 적용한 새로운 이모티콘을 개발하여 감성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첫 번째, 모바일 SNS 어휘에 대하여 이론적 배경 및 특징을 이론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전 및 문헌, 실제 모바일 SNS 대화방에서 감성을 표현하는 형용사를 수집하였으며 설문조사, 통계분석 및 FGI(Focus Group Interview)를 거쳐 적합 어휘를 추출한다. 두 번째, 정립된 적합 어휘를 바탕으로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의 다차원 척도 분석법을 실시한다. 그 결과로 감성 어휘 모델을 도출하여 대표 어휘를 중심으로 관련 어휘를 그룹핑하고 모바일 SNS 메신저에 적용 가능한 어휘 분류 체계를 제시한다. 세 번째, 모바일 메신저에서 사용하고 있는 탑 순위의 이모티콘과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기본 얼굴 표정 이모티콘을 수집한다. 수집된 이모티콘을 해당 분야의 전문가 FGI를 통하여 감성 어휘 모델에 맵핑한다. 네 번째, 감성 어휘 모델에 맵핑된 이모티콘을 대표어휘 중심의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시각적 요소별 특징을 분석 및 정의한다. 또한 감성 표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신체언어인 표정과 몸짓을 중점으로 어휘별 동작의 사용 빈도를 조사 하였다. 다섯 번째, 연구 데이터를 반영하여 실제 이모티콘을 개발하고 감성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검증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앞으로 지속적으로 향상될 이모티콘 디자인과 효과적인 감성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