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발전

박현주(Park Hyunjoo), 권기윤(Kwon Giyoon), 권지은(Ji-Eun Kwon)

Keyword
공공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지역 커뮤니티, 도서관 공간, 공간 브랜딩, Public Library, Complex Culture Space, Local Community, Library Space, Space Branding

Abstract
최근 공공도서관은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단순한 정보 제공의 기능뿐만 아니라 교육, 여가활동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사회의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도서관은 지역의 활성화를 위하 여 복합문화공간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은 특정 지역의 고유문화 예술 발전의 구심점을 제공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조 성하도록 하는 공공도서관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연구를 통해 지역 문화 브랜딩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정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개념, 지 역 사회와 관련한 역할,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이 어떤 의미인지 연구하고 둘째,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운영되고 있는 국내 외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분석하여 셋째, 분석 결과를 통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발전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복합문화공간의 기능은 상징성, 복합성, 전문성, 참여성, 접근성으로 분류하여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연계할 수 있다. 사례 분석 결과, 다섯 가지 특성 요소 중 참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공간을 제공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 하는 것의 중요성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복합성과 접근성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의 공간에서 다양한 가치를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의미에 부합한다. 상징성은 모든 사례에서 가장 높은 척도로 평가되었다. 복합 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이러한 상징성을 바탕으로 지역의 특색을 살린 랜드마크화가 가능하고 이로 인한 타지역민 유 입이나 관광산업의 가치까지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지역의 특색에 맞는 문화공간의 콘텐츠를 개발, 전문적 정보 제공 등을 통하여 지역의 상징을 살릴 수 있는 랜드화가 가능하며 문화공간의 질적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공간의 하드웨어가 되는 건축물은 개성을 살리고, 소프트웨어인 운영 프로그램은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해야 하며 복합 문화공간의 특징인 다양성을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과 서비스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공공도서관의 기본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복합문화공간의 역할과 공간구성을 융합한 방향성 추구는 그 지역 브랜딩과 지역 주민의 삶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y beyond the place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education centered on books is demanding the symbol of the community and the value as a cultural community space. Accordingly, public libraries are developing in the form of complex cultural spaces to revitalize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ublic library to provide the central point of the development of unique culture and arts in a specific region and to create a cultural identity.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ublic libraries for local cultural branding through the study of public librar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Method) First, we studies the concept of public library, the role related to the community, and the meaning of the library as a complex cultural space based on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Second, we analyzes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public libraries operating as complex cultural spaces. Thir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we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as a complex cultural space. (Results) The functio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can be linked to the function of a public library by the characteristics of symbolism, complexity, expertise, participation and accessibility.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participation among the five characteristic elements was the highest, which could see the importance of encouraging voluntary participation by providing various programs and spaces. The next high level of complexity and accessibility conforms to the meaning of a complex cultural space in that you can experience various values in an easily accessible space. Symbolism was rated as the highest scale in all cases. Based on this symbolism, the public library as a cultural complex will be able to be a landmark that accentu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thus gain the value of the tourism industry as well as the influx of people from other regions. (Conclusions) Public librar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can be landlocked and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al spaces by developing contents of cultural space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providing profess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rchitecture that serves as the hardware of space should be unique, and the operating program that is the software should meet the user’s requirements. Variety, a characteristic of complex cultural spaces, needs to be applied to the spatial composition and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conclusion, the pursuit of directionality, which fused the role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composite cultural space while maintaining the basic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is expected to help promote the local branding and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2020]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한 시장 브랜드 아이덴티티

박현주(Park Hyunjoo), 서창희(Seo ChangHee), 권지은(Ji-Eun Kwon)

Keyword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장 브랜딩, 로고, Brand Identity, Market Branding, Logo

Abstract
최근 밀레니엄 시대와 경쟁 시대에 접어들면서 사람뿐 아닌 여러 지역 사회까지 자기만의 이미지를 구축하고 아이덴티티를 성립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각 지역만의 고유하고 차별화된 정체성이 담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콘텐츠를 생산하고, 주민들의 생활문화에서 원동력을 얻고 공유하며 궁극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마을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도시재생 실행수단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천시 원미지역 내 있는 부흥시장과 금강시장에 대한 통합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문헌 조사를 중심으로 시장을 중심으로 한 브랜딩의 개념과 역할, 디자인 요소를 살펴보고, 둘째, 국내외 브랜딩 사례를 통해 구체적인 항목에 따라 분석한다. 셋째, 부천 원미동에 있는 시장을 중심으로 한 설문조사와 인터뷰 등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로고와 심볼, 슬로건 등을 제안한다. 원미동의 상징인 원미산과 심곡천을 디자인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하고 친근한 이미지와 공동체 의식을 나타낼 수 있는 슬로건을 제시하여, 원미시장 상인들의 의견이 잘 반영된 실제 부천 원미동의 시장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립하였다.

Into the recent age of millennium and competition, not only people but also communities are focusing on building their own image and establishing identities. To do this, companies are applying brand identities for urban renewal implementation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village companies and realize social value that produces contents with unique and differentiated identity of each region based on obtaining and sharing power of residents’living culture. This research is aimed at developing an integrated brand identity and suggesting brand image for Wonmi Buheung Market and Geumgang Market in Bucheon. To this end, first, we looked at the concept, role and elements of design of market branding centered on literature research. Second, we analyzed them according to detailed items from domestic to foreign branding cases. Third, we suggested logo, symbol and slogan based on brand identity elements which are drawn by surveys and interview centered on markets in Wonmi of Bucheon. As a result, by designing Wonmi Mountain and Simgok Stream which are symbols of Wonmi, we suggested slogan which expresses friendly image and sense of community establishing the actual market brand identity of Bucheon Wonmi that reflects the opinions of the market merchants.